김해 임호산 함박산 경운산 화보.
* 김해를 번성하게 해주는 절, 흥부암 *
호랑이가 웅크리고 있는 형국을 하고 있는 김해 임호산(林虎山) 꼭대기 가파른 자리에 위치한
가야불교의 성지 흥부암(興府庵)은 가락국의 수로왕 때 장유화상(長遊和尙)이 도성의 흥성을
빌기 위해 세운 사찰이다. 신비로운 땅 '가락국'을 둘러싸고 있는 산들은 예로부터 그 형상이
거북, 용, 호랑이 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김해 사람들은 언젠가는 이곳에서 수로왕
이후 사라진 ‘훌륭한 임금이 다시 나올것으로 믿고 있다. 이런 기운을 간직한 임호산은 유민산,
가조산, 호구산, 안민산, 봉명산, 임어산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는데,임호산(林虎山)은 이름
그대로 생긴 모양이 호랑이 머리와 같다하여 붙여졌다고 한다.
특히, 호랑이가 입을 벌리고 김해를 향해 으르렁거리고 있는 형상이라 사람들이 불안함을
느껴 그 입을 막아 주기 위하여 흥부암을 지었다고 한다. 곧 김해 지방이 흥하게 된다고 하여
흥부암(興府庵)이라는 절 이름을 얻게 된 것이다. 옛 가야인들은 이곳에 도읍을 정할 때 이미
임호산의 사나운 기운을 느끼고 수로왕의 처남으로 허왕후를 따라 아유타국에서 온 장유화상
이 절을 지어 가락국(김해)의 나쁜 기운을 눌렀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1820년 곽기형이 쓴 흥부암 중수기에도 이 같은 내용이 언급되어 있는데,‘김해의 오른쪽 안민
산은 읍의 백호로 옛날 풍수사가 이 산에 나쁜 바위가 있어 읍에 이롭지 않다고 하였다. 그러한
까닭에 절을 세워 그 험함을 가렸다’라고 적고 있다. 흥부암이 풍수지리적으로 창건되었음을
증명이라도 하듯 최근에 새로 지은 대웅전의 주춧돌도 호랑이 석상이라는 사실이다. 흥부암
자체가 호랑이 입막음인데, 거기에 더해 호랑이 모양의 주춧돌을 대웅전 기둥 아래 놓아 아예
호랑이를 꼼짝 못하게 짓누르고 있는 것이다.
* 흥부암의 창건배경 및 역사 *
옛 가야국의 중심지인 금관가야의 중앙에 위치한 흥부암은 허황후 오빠인 장유화상이 서기
48년에 창건한 사찰이라고 전하고 있다. 임호산의 풍수지리적 조건에 따라 가야국의 흥성을
빌기 위해 장유화상이 수로왕의 명을 받아 보탑을 세우고 절을 세웠다고 한다. 오랫동안 폐사가
되었다가 1700년 조선 숙종 때 새로이 중수하였는가 하면, 1760년 영조 때에도 중수를 하였다
고 한다. 이어 1820년 조선 순조 때 부사 유상필의 적극적인 후원을 받아 법당 등의 전각을 중건
하였으며, 19세기 중반에 김해 부사 정현석이 중창을 하여 법당을 중건하였는데, 당시에는 가람이
지금의 산령각 부근에 있었다고 한다. 이후 1985년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1989년 복원하였고,
1997년 부임한 주지 혜운스님이 부설 김해불교대학을 운영하면서 김해인의 중심적 기도처이며,
가야불교문화의 대표적 사찰로 자리 잡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출처 대한민국 구섞구섞 백과사전 -
어느 산방 산대장을 맡고있는 고명한 산행지인은 여기가 진정한 함박산 정상이라고
보고 함박정 주변에 달아놓은 개인의 정상 표지기를 떼어서 여기에다 붙인다는 후기
를 읽은적이 있다.
예전에 여기가 활공장 이었는데 지금은 폐쇄된 모양으로 사용하는 흔적이 없다.
- 산행 뒷담 -
예전에 뻐스를 타고 남해고속도로를 오가며 바라보았던 흥부암과 그 뒤로 연결된
임호산 함박산 경운산을 연결해서 탐방했던 바 그때는 김해건설공고 교정의 이름난
홍매화를 보기위해 경운산 정상에서 빽을하여 수인사로 내려와 건설공고로 향했던
사실이 있다. 통상 경운산을 등정하고 삼계로타리에서 끝을 내는 종주 코스를 생략
했던 것이다. 또한 4년전 2018년 4월에 흥부암에 화재가 발생해서 명부전을 비롯
인근 야산이 불타서 피해가 막중 하다는 뉴스를 접했는데 마음만 안타까웠지 여태
가보지 못한 죄송함이 남아 있었는데 엊그제 분성산에서 앞쪽으로 쳐다 보였던 흥부
암과 임호산을 오늘 내친김에 가보자고 하였다. 처음에는 흥부암과 임호산 함박산만
가볍게 둘러보고 내려와야지 하였으나 맏형격인 건너 경운산이 내내 못마땅히 쳐다
보는 것 같아서 그만 그때 끝내지 못한 삼계로타리 까지 꾸역꾸역 발품을 팔고 귀가
하게 되었다. 속이 후련하다. 묵은 체증이 쑥~ 내려간 기분이다.
=== 끝 ===
2021.12.10.
千聖山
'산행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동정맥 영남알프스 전망대 언양 화장산. (0) | 2021.12.16 |
---|---|
거제 천마산 할미바위 해안산책길 화보. (0) | 2021.12.12 |
가야국의 중심 김해 분성산 정탐기. (0) | 2021.12.09 |
청도 서지산 비늘릿지 매곡봉 간략기. (0) | 2021.12.06 |
홍성 용봉산 예산 수암산의 전부. (0) | 2021.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