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노음산 2차 탐방 간략기

 

 

상주 노음산은 지난 2012년1월29일 미답지 산행으로 1차 다녀왔던 산인데 이런저런

문헌에 때 먼 발치로 내려다 보았던 북장사에 특급 보물이 한점 있다는 사실을 인지

하였고 번에 뜻밖의 대박으로 므흣했던 시무굴도 처음에는 긴가민가 한번 가보는 수

밖에 없구나 하였던 곳이었다. 이 시기에 하도 마땅한 산행지가 없어 1차산행 때  B조

코스였던 석장승 능선을 따라 시무굴 북장사로 갔다가  다시 석장승 능선으로 원점회귀

하리라고 따라 갔는데 산대장이 석장승 능선은 산불기간이라 출금지역으로 묶여서 갈

없다고  처음에 계획했던 B조를 운용할 없다고 뻥깔치는 바람에 1차와 같이 고향

산천 가든에서 출발하여 국사봉 옥녀봉 거쳐 북장사 갈림에서 일행들과 헤어져 등산로

흔적도 분명잔설과 낙엽 경사가 무지 지랄같던 시무굴 북장사를 어렵게 찾아 갔다가

다시 갔던길을 되돌아서 내려 때는 출금지역 이라는 석장승 능선으로 거리낌 없이

내려는데 전혀 어떤 제약도 불편함도 없었고 띄엄띄엄 나와 반대로 노음산을 오르는

산꾼들마저 만날 수 있었다. 위 개념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내가 북장사로 내려 갔다가

되돌아 나오는 시간이면 산방 일행들은 벌써 노음산 정상을 찍고 궁암 남장사 아래

약수터 주차장 하산점에 도착할 시간과 비슷할 것이니 참으로 미련곰탕 같은 행보

지만 뜻밖의 시무굴 얼음기둥 천주교 성지를 발견한 희열과 포만감은 필설로 다 말

수가 없는 것이었다. 뒤늦게사 노음산 시무굴을 검색해보니 한결같이 놓쳤다는 푸념

이었고 어쩌다 찾은 사람들도 자료나 사진이 너무나 빈약기 이를데  없는거였다. 

나는 우연찮게 찾아간 이 희귀하고 보물같은 시무굴에서 많은 시간을 머물리다

나왔다.

 

 잘못 세워진 이 방향 표지판 주변에서 등산로를 찾을 수 없어 한동안 비비적 거리다

약2-30m 후방 능선에서 겨우 길 흔적을 쫓아 아무 생각없이 이슥토록 내려가니

이같은 소나무와 바위덤이 나오는데 뭔가 오른편이 수상쩍어 

직감적으로 시무굴 가는 길이로군 싶어 살살 더듬어 들어갔다.

난데없이 거대한 빙폭이 나오고

 

 

 

 와~! 이것이 여기가 시무굴이잖나.

 

시무굴 : 조선조 말에 박해를 받던 천주교 신자들이 숨어 지내던 곳으로, 지금은 천주교

신자들의 기도처로 사용하고 있다. 굴 안쪽에 십자가와 제단이 모셔져 있는데 흔히 굿당

이나 산신령을 모신 신당같이 보일 수 있을법한 석굴이다.  등산로에서 떨어져 있어 지나

치기 쉬운 이 석굴은 아마도 아래 북장사의 오랜 암자였으리라 생각되며 외부 사람들의

접근을 막지 않으며 신자들의 말을 빌리면 개인 사유지라서 개발이 쉽지 않아 아래 불교
사찰과 대치되는 천주교 성지로 꾸미는데 문제가 있다고 한다. 
(자료 - 월간 산 -)

 

 

성소(聖所) 시무굴 답사기념 한방

 

 

 

 

 

 

 

 

 

 

 

 

 

 

 

ㅎㅎ 나는 구미 냉산에 아도화상이 은거하여 득도하였다는 금수굴이나 금산 진악산 관음봉

에서 강처사가 도하여 인삼의 씨앗을 얻었다는 관음굴에 발품을 나가서 얼마나 실망을

하고 고소를 금치 못하였던가 거기에 비하면 이곳은 아주 그냥 구미 금오산의 최치원 굴

급수다. 참으로 경이롭다. 아니 경외롭다고 해야되나?

시무굴 들어가는 입구에 조그만 부스가 하나 있어서 문 열고 기웃거려 보았다.

 

시무굴 능선서 쳐다본 노음산 중턱 암봉

 

북장사 일주문 줌인

 

북장사(北長寺)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리 38-1

노음산(노악산, 논산, 천주산)자락 서편의 내서면 북장리에 있는 북장사(北長寺)

신라 시대인 833년 진감국사가 창건한 사찰로서 1628(인조 6)중창했다.

 

창건 이후 이 사찰을 중심으로 수미암, 상련암, 은선암 등의 부속암자가 있었는데

 때는 600여 승려가 머물렀을 만큼 큰 국찰이었으나, 임진왜란 때 완전 소실됐고

 그 후 번의 소실과 중건을 거쳤으나 지금은 극락보전, 명부전, 삼성각, 일주문

 명월당과 요사가 남아 있다주요 유물로는 1688(숙종 14)에 제작된 영산회

괘불탱(보물 1278)이 있다. 괘불이란 절에서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그림이다. 북장사 영산회 괘불탱(보물 1278

)은 괘불에서 많이 그려지는 영산회상도로 석가가 설법하는 장면을 나타낸 것이다

고운 명주에 채색하여 중앙에 석존을 모시고 좌우에 불보살들의 입상을 배치했다

 1688(숙종 14)에 조성된 것으로 길이 12m, 8m의 거대한 작품이며, 연대도 

 비교적 오래되고 조성 필치도 주목되는 귀중한 괘불탱화다조화로운 신체 각부의

표현과 밝고 선명한 채색을 사용하여 나타낸 다양한 꽃무늬의 장식성 등이 돋보이는

17세기 후반의 수작으로 괘불 비교 자료로 그 치가 크다고 사료된다. 

 

북장사 일주문은 북장사 본찰에서도 한창 후방에 있어 시간과 거리상 가지 못하고 자료사진으로

 

이 북장사가 위치한 천주산(天柱山)에 얽힌 전설로는 산위에 시무굴이 있는데

 이 가운데는 아래가 좁고 위는 넓은 돌기둥이 하나 있었다. 이 기둥을 하늘기둥

이라고 해서 천주산이라 하였고 동쪽에 있는 남장사(南長寺)와 대치되는 절로

북장사(北長寺)를 세웠다고 전해 내려온다.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238호 북장사 삼층석탑

 

 

 

자료사진

 

자료사진

 

자료사진

 

자료사진

 

 

 

여기 극락전 뒤편 축대위에 보물 괘불탱이 병풍처럼 보관되어 있는데

나는 어디 큰 건물이나 야외에 전시되어 있는 줄 착각하고 찾아 다녔다.

 

 

 

 

 

 

북장사를 떠나며

 

다시 낑낑거리며 내려왔던 길을 올라가며 북장사 탐방 주요 위치목이었던 중간 헬기장

 

눈요기 바위들과

 

혹부리 나무들을 만나며

 

 

 

 

 

 

 

 

 

 

 

두번이나 지나쳤던 국사봉 잘있거라!

 

옥녀봉 너도 잘있거라!

 

1차때 못 봤던 석장승 입구

 

 

 

 

 

--- 끝 ---

 

 

2015년 2월14

  

 

천성산

 

 

 

 

 ↓ 클릭

 

 

blog 천성산의 보금자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