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동 고분군 복원뉴스

 

 2015.1.22.18.37 방송화면

 

연산동고분군은 부산지역 유일의 삼국시대 고총고분군으로 능선을 따라 대형 봉분을 가진 무덤 10여기가 일렬로

있었으며 1988년에 제4호분과 제8호분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당시 수습된 유물들로는, 굽다리 접시(고배), 그릇

받침(기대), 굽다리긴목항아리(대부장경호), 둥근바닥짧은목 항아리(원저단경호), 뚜껑 등의 신라토기들과 화살통,

금동금구편, 쇠손칼, 쇠촉, 철갑, 칼의 파편, 쇠도끼 등의 철기, 무기류가 있었다. 2009년 수립한 연산동고분군 유적

정비 및 공원화사업 종합계획에 따라 현재 본격적인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009년 12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실시한 1차 발굴조사를 통해 이제까지 알려진 10기의 고총고분 외에 6기를 추가로 확인하였으며, 2011년 7월부터

실시중인 2차 발굴조사에서도 2기를 더 확인하여 연산동고분군의 규모와 위상을 제고하였으며 2012.2월 주민

설명회를 통해 현장이 공개되었다. 차 발굴조사에서는 제3호분에 대한 정밀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전체 길이가 약

16m, 너비는 4m에 달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규모의 주·부곽 수혈식석곽묘를 확인하였다. 또한 작은 크기의

덩이흙(점토괴)을 차곡차곡 쌓아 길이 25.2m, 높이 4m 이상의 거대한 고분을 축조한 고대 토목기술도 밝혀냈다.

일제강점기부터 최근까지 도굴되어 출토된 유물의 수량은 오리모양 토기 등 약 100여점에 지나지 않지만 삼국시대

비늘갑옷편과 판갑옷편이 출토돼 관심을 끈다. 일본 오쿠라(小倉)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는 판갑옷 역시 연산동 고분

군에서 나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연산동고분군 축조집단의 무장(武將)적 성격을 나타낸다. 발굴조사를 통해 삼국

시대 거대 고총고분의 분구 축조과정을 복원하는 데 크게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이제까지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은 연산동고분군 축조 집단은 물론 5세기~6세기의 부산지역 고대사 복원에도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산동고분군은 2012년 6월부터 제10호분을 중심으로 3차 발굴조사가 이어질 예정이며 2012년

하반기 발굴조사가 완료되면 봉분복원성토 및 잔디식재와 주변 탐방로 공사를 실시하여 주민친화적 역사문화 체험

공간으로 재탄생할 예정이다.  


연산동고분군 분구 단면,  제3호분 출토 오리모양 토기, 2차 발굴현장 주민설명회

 

 

 연산동 고분군 복원뉴스가 가끔식 나와싸서 궁금해서 한번 찾아 가본김에 그 옆에 있는 헤원정사

      절로해서 배산을 올랐다가 하산하며 해넘이를 보고 왔다.

 

 

 

 

 

 

 

 

 

 

 

 

 

 

 

 

 

 

 

 

 

 

 

 

 

 

 

 

 

 

 

 

 

 

 

 

 

 

 

 

 

 

 

 

 

 

 

 

 

 

 

 

 

 

 

 

 

 

 

 

 

 

 

 

 

 

 

 

 

 

 

 

 

 

 

 

 

 

 

 

 

 

 

 

 

 

 

 

 

 

 

 

 

 

 

 

 

 

 

 

 

 

 

 

 

 

 

 

 

 

 

 

 

--- 끝 ---

 

 

2015년 2월12

  

 

천성산

 

 

 

 

 ↓ 클릭

 

 

blog 천성산의 보금자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