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 동성산 서래봉 태조암.





















































































귀한 연리지 발견
























































































































태조암(太祖庵)은 지금은 위봉산이라 불리는 주출산의 정상인 되실봉(524m)

아래 전주시내와 드넓은 호남평야를 굽어보며 자리잡고 있다. 예로부터

되실봉을 중심으로 위봉사쪽에 비가 내리면 위봉폭포로 흘러가고 태조암

쪽에 내리는 비는 송광사앞으로 흘러간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산 정상 부근에

자리잡고 있다.

 

태조암이 창건된 것은 1675년 위봉산성이 축성될 때 함께 건립됐다.

1592년의 임진왜란과 정유대란을 거치면서 전주 경기전에 보관되어 있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어진과 조경묘의 전주 이씨 시조 위패를 피신시키기

위해 쌓은 위봉산성안의 행궁과 함께 태조암도 창건됐다.

 

실제 조선말(1894년) 동학 농민혁명이 일어나 전주부성이 농민군에

의해 함락되자 태조어진과 위패가 태조암으로 피신하기도 했다.

산자락 아래의 위봉사를 에두르는 산줄기 전체가 성곽을 이루고 있다.

위봉산성은 거의 허물어져 일부를 제외하고 돌무더기로 남아있고 행궁은

취를 찾을 수 없지만 태조암만은 묵묵히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창건당시는 행궁의 수호사찰로 창건됐지만 지금은 비구니 선원을 운영하고

있는 위봉사의 산내암자로 오롯이 수행가풍을 이어가고 있다.

 

태조암은 대웅전인 법당(法堂)과 요사채가 붙어있는 인법당(人法堂) 한채인

단촐한 구조다. 태조암은 그야말로 깊은 산속 작은 암자의 전형을 보여준다.

태조암과 관련해서 19세기 말경에 태조암에서 여섯분의 스님들이 극락정토

만다라(만불탱화)를 조성했는데, 탱화가 조성될 당시에 태조암쪽 산마루가

온통 탱화에서 방광(放光)하는 빛으로 싸여 마을 사람들은 산불이 난 걸로

착각했다는 얘기가 전해온다. 이 극락정토 만다라는 서방정토 극락세계 9천

500명의 아미타여래를 표현한 불화이다. 현재는 위봉사에 봉안되어 있는데

8폭만이 남아있다.

 

태조암은 현 조계종의 전신인 조선불교 초대교정(현 종정)을 지낸 영호

(박한영)스님의 출가 사찰이기도 하다. 완주 삼례출신의 영호스님은 불심깊은

스님의 어머니가 위봉사에서 금산스님의 생사법문을 전해주자 이에 감명을

받아 19세에 금산스님을 찾아 태조암으로 출가했다.


 <조동제 현대불교신문 전북지사장>













































지난 7월초에 위의 지도 위봉산을 올라 되실봉까지 갔다가 돌아나와 위봉성루를 타고 서문지

위봉재 위봉사 위봉폭포 순으로 한바퀴 돌았는데 트래킹 끝머리에 강력한 소위 국지성 폭우가

쏟아져서 조선시대 임진왜란 정유대란 당시 태조 이성계의 어진과 전주 이씨 시조의 위패를

모신 실록이 있는 태조암을 빼먹고 온것을 몹씨 아쉬워 했었다. 이번에 위봉산 오른쪽 동성

먼저 올랐다가 서래봉 되실봉 위봉산 위봉사 순으로 타고 내려서 위봉폭포 전망대에서

산행을 종료하는 산방을 따라가 동성산 서래봉 태조암 등 당시 주변의 미답지와 꼭 들렀으면

싶었던 태조암을 답사하고 나오게 되었으니 아래 산경도에 표시된 이름하여 호남알프스 그

위성의 유명들을 모두 섭렵셈이라 당분간은 이 호남알프스 일대를 다시 찾아가는 일은

없을것 같다.


  ※7월6일 호남알프스 위봉산 되실봉 위봉사풍경

바로가기

http://cafe.daum.net/lw1234/9JYR/1784


+++ 끝 +++



2017.9.2.





blog 천성산의 보금자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