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동구 이중섭거리 탐방화보.

 

부산 동구 이바구길 호랑이길 매축마을길 등등 안가본 곳이 없는데 이중섭 거리인지 

뭔지 옛날 교통부 보림극장 좌측 뒷편으로 올라가보면 있다고 해서 지하철 범일역에

내려서 현대백화점 7번출구로 빠져나와 기찻길 위 옛날 겁나게 힛트쳤던 친구 촬영지

육교를 건너갔다.

 

 

 

 

 

 

[부산의 老鋪] ⑧ 교통부 할매국밥

 

 

 

 

 

 

 

 

 

 

 

 

 

 

 

 

 

 

 

 

 

 

 

 

 

 

 

 

 

 

 

 

 

 

 

 

 

 

 

 

중섭은 1916년 평안남도 평원에서 태어났으며, 1937년 일본으로 유학을 갔다온 이듬해 원산사범학교

에서 미술교사가 된다. 한국전쟁발발 후 1·4후퇴때 이중섭은 아내와 두아들을 데리고 부산으로 내려온다.

우암동 피란민 수용소에서 살며 부두 노동을 하던 그는 1951년 가족과 함께 제주도로 건너갔다. 그해 12월

다시 부산으로 돌아와 범일동 귀환 동포마을 변전소근처에 판잣집을 짓고 생활했다. 극심한 생활고 때문에

이중섭과 마사코는 이별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 1952년 마사코는 영양실조에 걸린 아들을 데리고 친정이

있는 일본으로 돌아간다. 이중섭은 가족을 떠나보낸 후 홀로 부산에 남아 낮에는 부두 노동자로 일하고 밤

에는 술로 외로움을 달랬다. 그러나 그림에 대한 열정만은 사그라지지 않았다.

 

그는 광복동 일원의 밀다원, 금강다방, 그리고 부둣가의 술집들을 전전하며 부산으로 피란온 예술가들과

친밀한 교분을 나눴다. 비록 담뱃갑 은박지에 그림을 그리며 끼니를 해결하는 가난한 화가 신세 였지만

이곳에서〈범일동풍경〉이라는 명작을 탄생시킨다. 범일동 553번길 주변에 조성된 이중섭 거리에는 그의

고단했던 삶 치열했던 예술 세계가 파노라마처럼 펼쳐져 있다. 희망 100계단 끝 이중섭전망대에 이르면

당시 이중섭이 아내 마사코에게 보낸 절절한 편지를 읽을 수 있다.

 

참고문헌

・ http://www.bsdonggu.go.kr

 

=== 끝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