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령산 약수길에
집 앞에 송상현 광장이 있고 건너펀은 전포동이다. 전포동 동의과학대 옆구리 황령산 둘레
길엔 세계적으로 희귀한 천연기념물 제267호 구상반려암이 있다. 그 위로 한참을 올라가면
전포동 양정동 부전동 사람들이 아침 산책길에 잘 들르는 옥새정 약수터가 나오고 계속
치고 오르면 결국 황령산 정상 황령산 봉수대가 나온다. 황령산 꼭데기엔 kbs.mbc.knn.
방송 3사의 중계소 건물 송신탑이 솟아있고 정상 소공원 남구측 방향으로 언제부터인가
부산시 부산관광공사 발주의 황령산 전망쉼터라고 전망대와 휴게소 복합건물 공사를 하고
있었는데 내달 8일에 개장식을 한다는 뉴스가 들린다. 날씨 푹푹 찌는 삼복더위 7월30일
아침에 옥새정 약수터 간다는 핑계로 그런저런 거 둘러볼 요량으로 최고 짝은 패트병 두어
개 베낭에 집어넣고 황령산 약수터 길을 나섰다.
동의과학대
교정 여러곳에 무궁화
우리나라 꽃
옥새정 약수터 오름길 이런저런 재미스런 바위들
황령산 저팔계(돼지) 바위
월출산 저팔계 자료.
오리부리 바위
방송국 송신소 봉화대
오른쪽이 사자봉
여기는 황령서봉 행경산의 전망대
전포 양정 화지산 일대
깨스 자욱한 문현금융단지 범천 서면 도심지
3사 방송국 중계소 건물
연제구령 황령산 대형뻐스 회차로
황령산 정상석 부근
전자 전망대
자귀나무 꽃
봉수대로 건너가며
개장준비중인 남구측 황령산 전망쉼터 건물
방송국 송신탑과 황령산전망쉼터 그리고 정상석 부근 전망데크
황령산 봉수대는 또 주소가 부산진구 전포동이다.
걸핏하면 오르는 앞산 이지만 그래도 왔노라 하고
다시 옥새정 약수터로 내려와서
구상반려암으로 내려간다.
종 목 천연기념물 제267호
명 칭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 (釜山 田浦洞 球狀斑糲岩)
분 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지구과학기념물/ 지질지형
수량/면적
지정(등록)일 1980.10.23
소 재 부산 부산진구 전포1동 산12번지
시 대 원시시대
소유단체 재경부 외
관리자 관리단체 부산진구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에 대한 설명입니다.
구상암(球狀岩)이란 공처럼 둥근 암석으로 특수한 환경 조건에서 형성되며,
대부분 화강암 속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부산 전포동의 구상 반려암은 길이 400m, 폭 300m에 달하는 반려암 속에
구상암이 들어있는 형태를 하고 있으며, 이는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기록된 희귀암석의 종류이다.
구상암의 지름은 작게는 1㎝ 이하인
것부터 크게는 5∼10㎝인 것도 있다. 색깔은 암록회색 내지는 연한 회색이다.
부산 전포동의 구상 반려암은 암석의 생성과정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매우 희귀하고 특수한 암석으로서 지질학적 연구가치가 크다.
▲ 이상 문화재청 자료문건 입니다.
구상반려암 관련 뉴스 바로가기 → http://tvpot.daum.net/v/vc035SEnnFn6HZpHSEEpSR6
구상반려암 관련 신문기사 바로가기 → http://cafe.daum.net/lw1234/9JlH/16
문외한이라 아무리 디다보아도 어느것이 무엇 때문에 세계적으로 희귀한것인지
잘 모른체
주변 바위 모습들만 여러각도로
세세히 촬영하면서 돌아볼 뿐이다.
공기돌 우주선 바위같은것도 있다.
년초에 개방한다고 공사한다고 요란을 피우더니 지금은 내나 옛 모습 그대로
철망속에 비공개로 꽉 잠겨져 있다.
정면 출입구 주변 게구멍을 통해서 드갔다 나오니
건너 시민공원과 백양산이 쳐다보고 있다.
요 부전시장 밀면집에서 3000원짜리 곱배기 한그릇으로 아침겸 점심을 떼우고 집으로 돌아온다
*** 끝 ***
2015년 7월 30
대한민국 자유산꾼
★ 천성산 ★
아래를 클릭하면 더 많은 그림과 정보가 있습니다.
'산행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곡 금오산 금오동천 여름 산행기 (0) | 2015.08.04 |
---|---|
100대 인기명산 청계산 7월. (0) | 2015.08.03 |
삼척 무건리 이끼폭포 성황골 이끼계곡 (0) | 2015.07.29 |
산청 시무산 수양산 벌목봉 백운계곡 산행기 (0) | 2015.07.27 |
포항 내연 동대산 덕골 마실골 간략기 (0) | 2015.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