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 연대봉 응봉산
--- 2월7일 ---
가덕도는 얼마전 까지만 해도 진해 용원에서 나룻배를 타고 들어가야 하는
출입이 불편한 부산의 한 오지 섬에 불과 하였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부산 신항이다. 신공항이다. 거가대교다. 난리 부루스를 치는
대표적인 곳이 되고 말았는데... 보나마나 민심이 흉흉 할것이고
구섞구섞 도로다 교량이다 건물이다. 허물고 파헤치고 절단하고
세우고 짜 집는다고 진창일것이 뻔 하였다. 아주 오래전에 가덕도
연대봉을 오른적이 있으나 기억이 희미하여 이즈음에 주변
조망을 위하여 한번 가 봐야 겠다고 늘 벼르고 있었다가
그룹 산행팀을 따라 봉고버스를 타고 개통된지 얼마 안된
연육교를 따라 가덕도를 바로 들어갔다.
가덕도 1선의 응봉산에서 쳐다본 2선 매봉능선 3선 연대봉 끝선 국수봉
선창 선착장에서 출발하여 위의 지도 적색 점선과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하여 원점회귀 도상거리 모르겠고 5시간정도 걸었다.
가덕도 주변의 산경도:위의 사각 적색으로 표시한 산들이 산행내내 조망 되었다고 생각하며
멀리 일본의 대마도 까지 시야에 잡혔다.
가덕 눌차만 가두리 안의 굴 양식장 시설
눌차만 진행방향 왼편 동쪽으로 응봉산 능선이 흐르고 있다.
가덕도 특산물 유자밭
가까이 당겨본 응봉산
본격적인 산행 초입
산행 오름길 능선상에 있는 충혼탑
산불초소 안내판 연대봉으로 갔다가 되돌아 나와서 매봉 응봉산 방향으로 가야한다.
앞산 웅주봉(339) 너머로 멀리 창원 불모산 진해 웅산 시루봉 굴암산 보개산 등이 펄쳐저 있다.
응봉산 오른편 하부 해안단애
연대봉의 옛 봉화대 암봉이 나타난다.
아득한 수평선 끝에 길게 굴절된 부분들은 일본 대마도의 실루엣이다. 육안으로도 가까운 저 땅이 일본이라니 믿기지 않는다.
낙동강하구 해태(김) 양식장 너머 다대포 아파트촌 몰운대 섬 뒤로 영도 봉래산과 해양대학교 중리 태종대가 보인다.
연대봉 봉화대 도착
오랫만에 찾아온 기념으로..
정상석(459.4)
근교의 어디서나 진해의 시루봉같이 젖꼭지처럼 불쑥 솟아있는 연대봉 암봉(옛날 봉수대)
열나 거가대교 공사중 건너편은 거제도 저도 해수욕장이고 그 뒤로 남해도 보이고 있다.
웅동 진해 마산만 방향이다.
건너에 거제도의 이름난 산들이 다 나타나있고 그 뒤로 남해의 일부도 보인다.
국수봉 너머 태평양 수평선
북쪽 응봉산 너머 녹산 신호공단이 보이고 녹산 수문으로 부터 요즘 말하는 소위 신남낙정맥 능선이 보인다. 그 뒤로 김해의
야산들이 보인다.
명지 주거단지 낙동강 하구언 신설 명지교 너머 하단 승학산 구덕산 시약산 황령산 좌로 백양산 철마산 등 일망무제로 늘어섰다.
또 하나의 명물 관광명소가 될 거가대교 공사 현장
양산의 천성산 부산의 금정산 백양산이 길게 하늘금을 그리고 왼편 멀리로 김해 백두 장척 솟대 신어산 등이 보인다.
까마귀가 시위하는 연대봉을 뒤로하고...
매봉 응봉산을 향하면서 그룹들과...
매봉 도착
매봉 내림길서 쳐다본 응봉산의 멋진 암골미
나는 겨울 개고사리라고 말하고 싶은데 아시는분 꼬리달기...
응봉산 암릉 시작
다대포를 배경으로
응봉산의 풍치 몇점
가덕도 숭어잡이 그물 그리고 몰이 배 인가?
와~! 혼자서 이 절경을 보기가 아깝다.(모두 기도원쪽이 좋다고 해안 산책로로 내려 가버렸다.)
응봉산 통천문 통과 전
통과 후
왼쪽 폐광 암봉능선 줌인
지나온 능선들이 보인다.
응봉산 정상부(314) 능선에서 쳐다본 매봉능선 연대봉 국수봉
눌차만 중앙에 가덕 죽도가 보이고 출발 했던곳. 오른쪽으로 돌아 원점회귀 해야할 선창 선착장이 보인다. 그 뒤로 불모산 능선
계속해서 응봉산 산수도
강금봉으로 가며 뒤 돌아본 응봉산
승학 구덕산과 낙동정맥 끝머리 능선 그리고 영도 봉래산
동선 세바지 산불 감시초소의 등산 안내판
동선 세바지 해안 사장과 뒤돌아본 강금봉
강금봉 응봉산 매봉 능선
외눌마을 어느 가정집 담벽밑에 동백분재 그리고 천가교를 건너서 하산 완료 산행끝
*** 끝 ***
영원한 대한민국
자유산꾼
☆ 천성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