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사진

전주 모악산 매봉능선.

천성산. 2023. 6. 18. 15:14

전주 모악산 매봉능선.

 

전주 모악산 매봉능선이 궁금해서 목요산방을 따라나섰다.

 

 

 

 

 

 

청하 서원(淸河書院)은 조선 순조 때 구이면 학천리에 학천사(鶴川祠)를 창건 후 1868년(고종5)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고, 1963년에 복원하였다. 매월 3월 초정일(初丁日)에 향사를 지낸다.

건물은 강당(講堂), 사당인 청하사(淸河祠), 내삼문인 모현문(慕賢門), 신문(神門), 관리사(管理舍)

등이 있다. 

사당에는 김장생(金長生), 박동립(朴東立), 박동현(朴東顯), 유조(柳組), 박대복(朴大復)을 모신다.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 1548~1631)은 시호가 문원(文元)으로, 안성군수, 형조참판 등을 지냈으며,

문묘와 10개 서원에 제향 되었다. 아들이 김집(金集)이며, 저서에 상례비요, 가례집람, 근사록석의,

경서변의 등이 있다. 매포 박동립(梅圃 朴東立)은 김장생의 제자로 사마 양시(司馬兩試)에 합격 후,

이괄의 난과 병자호란에 의거하였다. 청류당 박동현(廳流堂 朴東顯 1544~1594)은 박동립의 아우로

진사시에 합격 후 학문과 덕이 깊었다. 지곡 유조(芝谷 柳組)는 사마시에 합격 후 사회 질서 확립에

공을 세웠다. 매산 박대복(梅山 朴大復)은 박동립의 증손으로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출처] 청하 서원(淸河書院)-전북 전주|

 

 

 

 

 

 

 

 

 

 

 

 

 

 

 

 

 

 

 

 

 

 

 

 

 

 

 

 

 

 

 

 

 

 

 

 

 

 

 

 

 

 

 

 

 

 

 

 

 

 

 

 

 

 

 

 

 

 

 

 

 

 

 

 

 

 

 

 

 

 

 

 

 

 

이름이 아까운 선녀폭포

 

 

 

 

전주 모악산은 이번 차수로 3차수가 되는데 과거 초탕 재탕을 모두 완주 대원사 수왕사로 올라서

김제 금산사로 내려가는 코스를 걸었다. 이번에 목산에서 매봉 능선을 올라서 정상을 찍고 수왕사

선녀폭포 계곡으로 하산 한다기에 구미가 동해 따라 가보기로 하였다. 전주 모악산이라 하는데 두

번이나 완주 김제 땅을 밟았으니 매봉 북봉 전주땅도 한번 밟아 보자꾸나 싶은거였다. 

+++ 끝 +++

 

2023.6.15.
 
千聖山
 
다음카페 천성산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