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동산 3봉(화지 금용 쇠미산)아침 산책.
뒷동산 3봉(화지 금용 쇠미산)아침 산책.
송상현 광장 철로 언덕에 있는 우리집을 나와서 양정 하마정 쪽으로 한10분정도 걸어가면
아래의 화지공원이 나온다. 화지공원엔 동래정씨의 시조묘가 있고 부산진구 천연기념물
800년 수령의 베롱나무가 제철을 맞이하여 피어있다. 화지사 사찰에서 거슬러 올라가면
화지산 정상이 나오고 치유의 숲길을 따라 mbc송신소와 체육공원을 지나면 금용산으로
건너가는 큰차도가 나온다. 금용산에서 쇠미산 오르기 전에 금용사 들렀다가 쇠미산 오를
때 일부러 사직동 온천장 방향 사면으로 오르면 이외로 대단한 골산인 바위지대를 만난다.
쇠미산에서 전설의 베틀굴 덕석바위로 해서 성지곡 수원지로 내려와서 집으로 귀가하는
것이 뒷동산 3봉 산책길이다. 화지산에는 문화재와 천연기념물 치유의 숲길이 있고 쇠미
산에는 국가지질공원도 있다. 왠만한 부산 도심 시가지와 백양산 금정산 장산 황령산 영도
봉래산 구덕산 등등의 부산의 산들을 다 굽어보며 멍때리가 좋은 가까운 산길이라고 애써
강조하고 자랑하고 싶은 것이다.
부산 양정동에 있는 화지공원은 동래정씨 시조의 선산으로 도심지 내에 위치한 조용하고 아담한 공원이다.
일명 '정묘사(鄭墓祠)'라 불리는 이곳은 동래정씨 2세조 '정문도' 공이 안장돼 있는 곳이다. 이곳에는 수령이
800년이나 되는 배롱나무와 각종 묘비가 있고 풍수적으로 조선 8대명당으로 손꼽히는 '명당'이라고한다.
이 배롱나무는 1965년도에 국가 지정 천연기념물 제168호로 지정이 될 정도로 보존 가치가 큰 것이다.
◈베롱나무
꽃말은 부귀 떠나간 님을 그리워하다 입니다. 간지럼 나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배롱나무 백일홍은 주로 붉은색 꽃을 피우지만 수종에 따라서 보라색, 연보라색,
하얀색을 띄기도 한다. 의미도 꽃 색깔에 따라 다르게 붉은 계열에는 부귀, 하양
에는 말벗, 수다스러움이라는 꽃말이 붙었다. 올 여름, 배롱나무 백일홍과 인연을
맺을 수 있다면 그것은 종교를 떠나 부처와의 만남을 뜻하는 것이니, 생성과 소멸
이라는 우주의 원리를 담고 있는 백일홍의 깊은 아름다움을 꼭 한번 만나 볼 것을
기원해 봅니다.
◈ 화지산
부산진구 양정동과 초읍동 그리고 연제구 거제동의 경계를 이루는 해발 199m의 산으로,
북으로 금융산을 바라보고 있고, 아주 오래전에 화지언(和池堰)이란 못이 있어서 화지산
이라 불리게 되었으며, 남쪽 사면으로 동래 정씨 시조 동래 정씨 2세인 안일 호장 정문도
(鄭文道)의 묘와, 동래 정씨 문중의 재실인 추원사(追遠祠)와 화지사 등이 있으며, 무덤
양쪽에 천연기념물 제168호 수령800년 짜리 부산진 배롱 나무 2그루가 있다.
화지산은 정묘(鄭墓)가 있다하여 정묘산 이라고도 부른다.
◈금용산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와 연제구의 경계에 있는 해발 149.7m의 산으로, 북쪽으로 쇠미산과
이어져 있으며, 남쪽으로 화지산을 바라보고 있고, 동쪽 사면으로 사직운동장이 있다.
◈만덕3터널공사
2016년2월 조선일보 기사중에서
부산 북구 덕천동과 부산 연제구 거제동 아시아드주경기장을 잇는 '만덕3터널〈지도〉'이 뚫린다.
부산시는 28일 "백양산을 관통해 북구 덕천로와 연제구 월드컵대로를 잇는 총길이 4.37㎞(터널
구간 2.24㎞), 왕복 4차로 공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만덕3터널의 사업비는 1658억원이며, 20
20년 12월 완공 예정이다. 이 터널이 개통되면 부산의 동서를 연결하는 기존 만덕1·2터널의 교통
량을 분산하는 효과가 생길 전망이다. 만성적 교통 체증에 시달리던 북구 덕천·만덕동 등 서부산
권의 교통 흐름이 좋아지고, 동래·서면권의 원도심과 북구·김해·양산 지역 간 소통이 원활해질 것
으로 보인다.
◈쇠미산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동래구, 연제구에 걸쳐 있는 해발 399m의 산으로, 주봉은
금정봉이고, 남쪽으로 금용산, 동쪽으로 금정산, 서쪽으로 백양산과 이어져 있고,
서쪽 사면으로는 성지곡수원지와 어린이대공원이 있으며, 산 정상 북쪽능선으로
넓이가 265㎡나 되는 평평바위인 덕석바위와 덕석바위 밑으로 임진왜란 때 여인
들이 왜군들을 피해 군포를 짜서 전쟁터의 낭군들을 도왔다는 베틀굴이 유명하며,
쇠미산이란 이름은 이 산에서 쇠물이 많이 나왔고 금정산맥의 꼬리부분이라해서
붙여진 이름이고, 임진왜란 때 여인들이 베틀굴에 피했다해서 생명산이라 불렸다
고도 한다.
*** 끝 ***
2022.8.10.
千聖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