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사진

대구 용문산 1회차

천성산. 2020. 2. 5. 22:00



대구 용문산 1회차

 

화원자연휴양림~용문사 편

화원자연 휴얄림 들머리 풍경






용문산 오름길 전망정자




전망정자 조망 안내판.


삼필봉 추정치 아래 화원미나리 하우스들




용문산 오름길 수석들






용문산 오름길에 바라보는 대구시가지 멀리 끝선은 팔공산 능선


청룡지맥 삼필봉(황룡산) 청룡산 앞산 산성산 대덕산 능선


용문산(602) 도착




중앙 기내미재 함박산 너머 멀리 눈덮인 우뚝한 봉우리는 성주 칠불봉(가야산)으로 추렴한다

구미 금오산이다. 김천 황악산이다. 합천 황매산이다. 여론이 분분 했지만 산경도를 검토 해볼때 아무래도 가야산 칠불봉 같다. 



까치봉 갈림길 이정표




지나온 용문산






용문삼거리 이정표


닭지봉은 뭐고 닭지만당산은 또 무엇이냐?








우측으로 비슬산이 보인다.


지나가면서 일행들에게 문경 부봉6봉길의 미륵바위 닮았제 하였다.



부봉 미륵바위 자료사진


청룡지맥 합류점 이정표 






청룡지맥 닭지만당 정상 이정표 인증


청룡지맥 우측 가창 최정산 주암산 능선


골재 삼거리 이정표 여기서 청룡지맥 버리고 용문사로 내려간다.


화원 자연휴양림 상단 용문폭포 계곡




옥녀탕 선녀탕


좌측 바위상단에 龍門 각자가 뚜렷하다.










용문사 경내구경












다시 화원자연휴양림으로 원점회귀


용문산 산행 끝


대구달성 화원읍에 별로 이름이 없는 용문산을 어쩌다가 연속 이틀을 올라가서 알뜰히

돌아보고 오게 되었다. 아래 지도와 같이 국제신문 산행팀은 용연사 입구에서 출발하여

용연사 입구로 원점회귀 하는 아주 평범한 간단한 코스 였는데 그러면 될것을 그  반대

화원자연휴양림에서 출발하여 용문산 닭지봉 골재 용문사 자연휴양림 순으로 원점회귀

하였으니 엉터리 반토막 산행을 하지 않았는가 따라간 산방의 년초 시산제 산행겸 인근

화원 미나리꽝 삼겹살 회식잔치인지 단합대회인지 때문에 용문산 산행이 극히 요식 형식

적이 되고 말았던 것이다. 모든 사람들이 미나리 삼겹살 파티에 열중할때 나는 시산제를

마치고 나누어 먹은 떡과 과일 몇점 때문에 배가 부르다는 핑계를 대고  그  아래 인흥원

이리는 남평문씨 세거지를 의도치 않게 돌아보게 되었고 산방대원들 미나리 삼겹살 회식

장으로  돌아오는 중에 또한 고색창연한 동계서당을 만나는 행운도 얻었다. 인근에 인흥

서원도 있었다는 사실을 나중에야 알게되어 아차! 싶었지만 그러다보면 끝없는 연결고리

사슬로 평생을 헤어나지 못하리라 싶은 생각에 소름이 끼쳤다.

 



인흥원(남평문씨 세거지) 동계서당 과외 트래킹 편 

























인흥원 영춘홍매




















































희귀한 노루궁뎅이버섯도 인공재배가 된다는 사실을

여기서 처음 알게되어 한컷 담아 보았다.


도응유(都應兪, 1574∼1639)는 1606년 수학강독하기 위해

인흥정사(仁興精舍)를 세워 제자들을 가르쳤으며 후에 동계서당으로 바뀌었습니다.

도응유의 본관은 성주()로서. 자 해보(). 호 취애()이며. 정구()의

문인 입니다.

선조 때 진사시()에 합격하였습니다.

1611년(광해군 3) 정인홍()이 이언적() ·이황() 등을 무고하자

그 부당함을 반박하였고, 박이립이 정구를 모함하자 상소하여 스승의 억울함을

해명 하였습니다.

1624년(인조 2) 이괄이 난을 일으키자 의병을 일으켰으며, 

1627년 정묘호란 때에는 정경세를 도와 활약하였습니다








과외 트래킹편 끝

 




2020.2.5. 


千聖山


blog 천성산의 보금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