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사진

번개산행 가지산 철쭉

천성산. 2019. 5. 17. 19:30



번개산행 가지산 철쭉.(천연기념물 462호)


가까운 가지산에 천연기념물 철죽 군락지가 있다. 가지산은 늘 겨울

눈꽃산행만 다니다가 언젠가 5월 이맘때 한번 올라갔다가 연분홍 철쭉이

놀랄만큼 허드러지게 피어있고 천연기념물이라는 사실에 또 한번 놀랬던

지난적이 있었다. 은근슬쩍 거길 또 한번 가보고 싶었고 이번 주말에 전국

적으로 많은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니 예약된 주말산행을 파기하고 오늘

가지산 철쭉이나 더 시들기전에 가보고오지 뭐 하였다.


석남사 입구 상가 주차장



석남사 입구 출발









운문령에서 시작되는 가지산 임도와 귀바위



멀리서 보면 엎드린 거북이 쌀바위



좌측 멀리 입석대 줌인









옛 24번국도  폐쇄된 가지산 휴게소 위 입석대너머로 배내봉 오두산



낙동정맥 석남재 접선 이정표



영업중지 중봉 아래 간이매점 대피소









천연기념물 철쭉군락지 시작



가지산 정상 우측 사면






중봉 오름길에 내다보는 석남사



고헌산과 석남사 계곡 울주군 상북면 촌락과 신작로


 




가지산 중봉 도착






중봉에서 조망하는 밀양 백운산 천황산 재약산 얼음골 도래재 정승봉 등



백운산 떼어보기



백운산 정상



정상아래 철계단 암릉지대



가지산 헬기장 밑 운문지맥 암봉들






중봉에서 바라보는 가지산정






가지산과 중봉 사이 밀양재



 밀양쪽에서 설치한 가지산 운문산 등산 안내도



운문지맥 암봉



능동산 얼음골 천황봉 재약산 마루금


















쥐오줌풀 꽃



 운문지맥 분기점 헬기장



헬기장에서 바라보는 중봉



기지산정 휘날리는 태극기









가지산 대피소 매점 주변 안내물들






겨울 산행때 이 간이매점  대피소로 들어가 따뜻한 난로 옆에서 몸을 녹이며 

커피 한잔 사먹거나 라면 하나 끓여 달라거나 하였는데 오늘은 더워서 그냥

지나간다.















영알의 최고봉 100대명산 가지산 정상 인증한장 한다.


 

울주군에서 크게 세운  정상석 앞면 



뒷면



정상에서 쌀바위 상운산 등 가고자 하는 북릉



그 반대 남릉 아랫재 운문북릉 운문산 억산 사자봉 문바위 등



좌측으로 가지북봉 운문사 학심 심심계곡 호거대 방음산 지룡산 등



쌀바위 가는길 철쭉들


















쌀바위 상운산 뒤로 문복산 옹강산 능선



쌀바위 줌인






가지북봉









가지산 쌀바위 중간 헬기장






학심이 계곡 배넘이 고개 지룡산



쌀바위 도착















꾀가나서 쌀바위에서 상운산 귀바위 운문령 임도로 가지 않고 바로 석남사 직하

비탐구 험한 비탈 너덜길 내려가는데 난데없는 야생 금낭화 한그루







석남사 권역입구 흡사 두마리 돼지머리 바위다.


석남사 경내









+++ 끝 +++


※ 천연기념물 462호 가지산 철쭉군락 내역


가지산 철쭉나무 군락지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경상남도 밀양시,

경상북도 청도군에 걸쳐 있는 가지산의 산정상부에 위치한다.

철쭉나무는 진달래과 진달래속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전국의 산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일찍이 신라 성덕왕(聖德王)때

순정공(純貞公)이 강릉태수로 부임할 때 그의 부인 수로가 철쭉꽃을

갖고 싶어 하자 지나가던 농부가 꽃을 꺾어 바치고 불렀다는 헌화가

(獻花歌)의 전설이 삼국유사에 수록되어 있을 정도로 우리 민족

정서와 친숙한 꽃이다.

철쭉나무는 주로 활엽수림의 관목층을 이루는 것이 보통이나 가지산의

철쭉나무 군락지에는 수고가 3.5∼6.5m, 수관폭이 6∼10m, 추정 수령이

약 100∼450년의 40여주의 철쭉나무 노거수 및 약 219,000여주의 철쭉

나무가 산정상부인 981,850㎡에 집중적으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어

학술적 및 경관적 자원으로서 가치가 크다.

가지산은 해발 1,240m이며, 백두대간에서 뻗어 나온 낙동정맥의

영남팔산 중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가지산도립공원의 주산이다.

철쭉나무 군락지와 주변의 식물상은 4강 35목 81과 225속 3아종

69변종 21품종 총 432종류이다. 까막딱다구리, 검독수리,

붉은배새매, 수리부엉이, 원앙, 하늘다람쥐, 수달 등의 천연기념물이

번식하거나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정일 2005.08.19

수량/면적 1,116,035㎡(지정구역)

<<자료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