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 최고봉과 소쇄원 탐방기.
담양 최고봉과 소쇄원 탐방기.
한국가사문학관 ((www.gasa.go.kr)
조선 시대 한문이 주류를 이루던 때에 국문으로 시를 제작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가사문학이 크게 발전하여 꽃을 피웠다.
특히 전남 담양은 이서의 「낙지가」, 송순의 「면앙정가」, 정철의 「성산별곡」·「
관동별곡」·「사미인곡」·「속미인곡」, 정식의 「축산별곡」, 남극엽의 「향음주례가」,
「충효가」, 유도관의 「경술가」·「사미인곡」, 남석하의 「백발가」·「초당춘수곡」·
「사친곡」·「원유가」, 정해정의 「석촌별곡」·「민농가」 및 작자 미상의 「효자가」
등 18편의 가사가 전승되고 있어 가사문학의 산실이라고 부른다.
이같은 가사문학 관련 문화유산의 전승·보전과 현대적 계승·발전을 위해
가사문학관을 설립하였다.
담양군에서 1995년부터 가사문학관 건립을 추진하여 2000년 10월에
완공하였다.
가사문학관에는 송순의 『면앙집』과 정철의 『송강집』, 담양권 가사 18편을 비롯하여
가사 관련 도서 4,500여권과 유물 200여점, 목판 535점 등 귀중한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문학관 주변에는
식영정·환벽당·소쇄원·송강정·면앙정 등 호남 시단의 중요한 무대가 자리잡고 있는데,
이는 한국 가사문학 창작의 밑바탕이 되어 면면히 그 전통을 오늘에 잇게 하고 있다.
본관은 지하 1층과 지상 2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시실, 수장고, 세미나실, 전시실,
장서실, 자료실, 문화사랑방 등이 있다.
가사문학의 산실이었던 담양에 지어진 문학관으로 가사문학 관련 문화유산 자료를 수집,
정리하고 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여기가 최고봉 등산로 입구
등산로 입구에 있는 식영정 일원
등산로 첫봉 장원봉으로 오른다.
장원봉 오름길의 춘화들
산자고 춘란이 무척이나 많이 자생하는 야산이었다.
광주호 건너 무등산 자락 일부가 보인다.
산불초소가 있는곳이 장원봉(최고봉이니 장원봉이니 이름만 거창하다.)
최고봉 가는길에도 무등산 꼭데기 희끗 보인다.
별 볼것이 없으니 옛글이라도 읽어 보라고...
처음만난 유일한 큰바위
여기가 오늘의 최고봉 정상
그래도 막강한 호남정맥의 일봉이라는 사실
별다른 표지가 없는 까치봉을 끝으로 호남정맥과 헤어진다.
까치봉 삼각점
소쇄원으로 내려간다.
소쇄원 뒷구멍 출입구가 공사중으로 막혀있다.
★ 소쇄원 자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소쇄원(瀟灑園)은 양산보(梁山甫: 1503~1557)가 스승인 조광조가 유배되자
세상의 뜻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와 깨끗하고 시원하다는 의미를 담아 조성한 곳으로,
자연과 인공을 조화시킨 조선 중기 정원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다.힌편, 양산보(梁山甫)
의 호가 소쇄옹(瀟灑翁)이었기에 원(園)의 이름을 소쇄원이라 한 것이라고도 한다.
명승 제40호. 지정구역 4,399㎡, 보호구역 11만 7,051㎡.
소쇄원(瀟灑園)은 양산보가 은사 조광조(趙光祖)가 남곤(南袞) 등의 훈구파에게
몰려 전라남도 화순 능주로 유배되자 세상의 뜻을 버리고 낙향하여 향리인 지석마을
에 숨어살면서 계곡을 중심으로 조영한 원림(園林)으로 양산보(梁山甫)의 은둔생활
(隱遁生活) 기간 중인 1520년부터 1557년 사이에 조성되었다.소쇄원의
‘소쇄’는 본래 공덕장(孔德璋)의 「북산이문(北山移文)」에 나오는 말로서 깨끗하고
시원함을 의미하고 있으며, 양산보는 이러한 명칭을 붙인 정원의 주인이라는
뜻에서 자신의 호를 소쇄옹(瀟灑翁)이라 하였다. 소쇄원의 조성사상을 보면
주자(朱子)가 중국(中國) 숭안현(崇安縣) 무이산(武夷山) 계곡의 경승지인
무이구곡(武夷九曲)에 무이정사(武夷精舍)를 짓고 현실(現實)을 도피하여
은둔하는 행동양식이 깔려 있다. 당시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소실되고 80년쯤
전에 중수하여 현재 2동이 남아 있다.한편, 소쇄원에는 김인후(金麟厚)가
1548년(명종 3)에 지은 오언절구(五言絶句)의48영(詠) 시(詩)가 남아 있다.
그리고 고경명(高敬命) 이 1574년 4월 20일부터 24일까지 광주목사(光州牧使)
임훈(林薰)과 함께 광주 무등산(無等山)을 유락(遊樂)하면서 4월 23일소쇄원에
들려서 보았던 계원(溪園)의 사실적 묘사가 「유서석록(遊瑞石錄)」에 남아 있다.
또 소쇄원의 배치를 목판(木板)으로 새긴 「소쇄원도(瀟灑園圖)」가 남아 있다.
이 목판은 가로가 35㎝, 세로가 25㎝로 양각으로 판각되었는데 1755년 4월 하순
(숭정기원후 삼을해년청화 하완간(崇禎紀元後 三乙亥年淸和 下浣刊)에 제작했다는
판각기가 새겨있어 소쇄원의 원형(原形)을 상고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목판에는 위쪽에 김인후의 소쇄원 48제영(瀟灑園 48題詠)이 새겨있고 오른쪽
외곽에는 「창암촌 고암동 소쇄원 제월당 광풍각 오곡문 애양단 대봉대 옹정봉
황금정 유 우암선생필(창蒼巖村 鼓巖洞 瀟灑園 齊月堂 光風閣 五曲門 愛陽壇
待鳳臺 瓮井峰 黃金亭 有 尤菴先生筆)이라 새겨있다. 우암(尤菴)은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호이다. 이 소쇄원도(瀟灑園圖)에는 건물의 명칭 식물의 명칭 지당
(池塘) 계류의 조담(槽潭)이나 바위 다리 물레방아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입구 담벽에는 원래 김인후의 소쇄원 48영(詠) 수제(手題)가 편액으로 걸려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소쇄원은 무등산의 북쪽 기슭에 있는 광주호의 상류에 위치하여 무등산을 정남쪽에
대하고 있으며, 뒤편에는 까치봉과 장원봉(壯元峰)으로 이어지는 산맥이 동서로
병풍처럼 둘러져 있다.또, 뒷산과 까치봉 사이의 골짜기를 흘러내리는 계류를 중심으로
하여 산기슭에 터를 잡은 소쇄원의 바로 앞에는 증암천이 동서방향으로 흘러 광주호에
들어가고 있다.정원의 평면적인 모습은 계류를 중심축으로 하는 사다리꼴 형태이며,
흙으로 새 메움을 한 기와지붕의 직선적인 흙돌담이 외부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계곡의 굴곡진 경사면들을 계단상으로 처리한 노단식 정원의 일종
이지만, 구성면에서는 비대칭적인 산수원림(山水園林)이다.
소쇄원은 기능과 공간의 특색에 따라 애양단구역(愛陽壇區域)· 오곡문구역(五曲門區域)·
제월당구역(霽月堂區域)·광풍각구역(光風閣區域)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애양단 구역은 이 원림의 입구임과 동시에 계류쪽의 자연과 인공물을 감상하면서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애양단이란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소쇄원사팔영
(瀟灑園四八詠)」 가운데 있는 ‘양단동오(陽壇冬午)’라는 시제를 따서 송시열(宋時烈)이
붙인 이름이다.왕대나무숲속에 뚫린 오솔길을 따라서 올라오면, 입구 왼편 계류쪽에
약 18m의 간격을 두고 두 개의 방지(方池)가 만들어져 있고, 과거에는 물레방아가 돌고
있었다.이것은 장식용으로 오곡문 옆 계곡물이 홈대를 타고 내려와 위쪽 못을 채우고,
그 넘친 물이 도랑을 타고 내려와 물레방아를 돌리게 되어 있어, 이것이 돌 때 물방울을
튀기며 폭포가 되어 떨어지는 물의 약동을 건너편 광풍각에서 감상하도록 설계된
것이었다. 위쪽 옆에는 계류 쪽으로 튀어나온 대봉대(待鳳臺)라는 조그마한 축대위에
삿갓지붕의 작은 모정(茅亭)이 있는데, 이것은 근래에 복원한 것이다.
오곡문구역은 오곡문 옆의 담밑 구멍으로 흘러 들어오는 계류와 그 주변의 넓은 암반이
있는 공간을 말한다. 계류의 물이 들어오는 수문 구실을 하는 담 아래의 구멍은 돌을
괴어 만든 높이 1.5m, 너비 1.8m와 1.5m의 크기를 가지는 두 개의 구멍으로 되어
있는데, 그 낭만적인 멋은 계류공간의 생김새와 잘 어울린다. 이와 비슷한 기법은 1100
년대(숙종연간)의 이실충(李實忠)이 만든 경기도 부천의 척서정(滌暑亭)에서 볼 수 있다.
오곡문의 ‘오곡’이란 주변의 암반 위에 계류가 之자모양으로 다섯 번을 돌아 흘러
내려간다는 뜻에서 얻어진 이름이다. 이 부근의 암반은 반반하고 넓어서 많은 사람들이
물가에 앉아서 즐기기에 넉넉한데, 「소쇄원도」에는 한편에서는 바둑을 두고, 다른 한편
에서는 가야금을 타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제월당구역은 오곡문에서 남서 방향으로 놓여
있는 직선도로의 위쪽 부분을 말하는데, 주인을 위한 사적(私的) 공간이다.
제월당 앞의 마당은 보통의 농가처럼 비워져 있으며, 오곡문과의 사이에 만들어진 매대(梅臺)
에는 여러 가지 꽃과 나무들을 심어 놓았다. 광풍각구역은 제월당구역의 아래쪽에 있는
광풍각을 중심으로 하는 사랑방 기능의 공간이다. 광풍각 옆의 암반에는 석가산(石假山)이
있었는데, 이러한 조경방법은 고려시대의 정원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광풍각의 뒤쪽에 있는 동산을 복사동산이라 하여 도잠(陶潛)의 무릉도원을 재현하려고
하였다. 제월당의 ‘제월’과 광풍각의 ‘광풍’은 송나라의 황정견(黃庭堅)이 유학자 주돈이
(周敦頤)의 사람됨을 평하여 “흉회쇄락여광풍제월(胸懷灑落如光風霽月)”이라고 한 데서
유래한 것이다. 소쇄원의 조경식물로는 소나무·단풍나무·버드나무·참등나무·대나무·매화나무·
복사나무·살구나무· 벽오동나무·배롱나무·회화나무·치자나무·사계화나무·국화·파초·연꽃·철쭉·
동백·난·측백나무 등을 심었다.이들 가운데 소나무·매화나무·대나무는 국화와 함께 사절우
(四節友)라 하여 선비들이 즐겨 심었던 것이며, 측백나무는 주나라 때 왕자의 기념식수로,
회화나무는 고관들의 기념식수로 쓰이던 나무들로, 그 풍습에 따라 자손이 성공하기를
비는 뜻으로 심었다. 현재는 당시에 심은 나무들 가운데 소나무·측백나무·배롱나무 몇 그루가
남아 있을 뿐이다.
소쇄원은 계류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의 언덕에 복사나무·배롱나무 등을 심어 철따라 꽃을
피우게 하였으며, 광풍각 앞을 흘러내리는 계류와 자연폭포, 그리고 물레방아에서 쏟아지는
인공폭포 등 자연과 인공이 오묘하게 조화되어 속세를 벗어난 신선의 경지를 방불하게 하는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어, 시인·묵객·문사들의 방문이 그치지 않았던 곳이었으며,
그들이 남긴 시들이 현재까지 전해 오고 있다.
소쇄원은 보길도의 부용동원림과 더불어 자연과 인공을 조화시킨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별서(別墅: 농장이나 들이 있는 부근에 한적하게 따로 지은 집) 정원이다.
소쇄원(瀟灑園)은 양산보(梁山甫: 1503~1557)가 스승인 조광조가 유배되자 세상의 뜻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와 깨끗하고 시원하다는 의미를 담아 조성한 곳으로, 자연과 인공을 조화
시킨 조선 중기 정원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다.힌편, 양산보(梁山甫)의 호가 소쇄옹(瀟灑翁)
이었기에 원(園)의 이름을 소쇄원이라 한 것이라고도 한다.
명승 제40호. 지정구역 4,399㎡, 보호구역 11만 7,051㎡.
소쇄원(瀟灑園)은 양산보가 은사 조광조(趙光祖)가 남곤(南袞) 등의 훈구파에게 몰려 전라남도
화순 능주로 유배되자, 세상의 뜻을 버리고 낙향하여 향리인 지석마을에 숨어살면서 계곡을
중심으로 조영한 원림(園林)이다. 양산보(梁山甫)의 은둔생활(隱遁生活) 기간 중인 1520년부터
1557년 사이에 조성된 것이다.소쇄원의 ‘소쇄’는 본래 공덕장(孔德璋)의 북산이문(北山移文)에
나오는 말로서 깨끗하고 시원함을 의미하고 있으며, 양산보는 이러한 명칭을 붙인 정원의 주인
이라는 뜻에서 자신의 호를 소쇄옹(瀟灑翁)이라 하였다.소쇄원의 조성사상을 보면 주자(朱子)가
중국(中國) 숭안현(崇安縣) 무이산(武夷山)계곡의 경승지인 무이구곡(武夷九曲)에 무이정사
(武夷精舍)를 짓고 현실(現實)을 도피하여 은둔하는 행동양식이 깔려 있다.
당시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소실되고 80년쯤 전에 중수하여 현재 2동이 남아 있다.
한편, 소쇄원에는 김인후(金麟厚)가 1548년(명종 3)에 지은 오언절구(五言絶句)의 48영
(詠) 시(詩)가 남아 있다. 그리고 고경명(高敬命) 이 1574년 4월 20일부터 24일까지 광주
목사(光州牧使) 임훈(林薰)과 함께 광주 무등산(無等山)을 유락(遊樂)하면서 4월 23일
소쇄원에 들려서 보았던 계원(溪園)의 사실적 묘사가 「유서석록(遊瑞石錄)」에 남아 있다.
또 소쇄원의 배치를 목판(木板)으로 새긴 「소쇄원도(瀟灑園圖)」가 남아 있다.
이 목판은 가로가 35㎝, 세로가 25㎝로 양각으로 판각되었는데 1755년 4월 하순(숭정기원후 삼을
해년청화 하완간(崇禎紀元後 三乙亥年淸和 下浣刊)에 제작했다는 판각기가 새겨있어 소쇄원의 원형
(原形)을 상고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목판에는 위쪽에 김인후의 소쇄원 48제영(瀟灑園 48
題詠)이 새겨있고 오른쪽 외곽에는 「창암촌 고암동 소쇄원 제월당 광풍각 오곡문 애양단 대봉대 옹정봉
황금정 유 우암선생필(창蒼巖村 鼓巖洞 瀟灑園 齊月堂 光風閣 五曲門 愛陽壇 待鳳臺 瓮井峰 黃金亭 有
尤菴先生筆)이라 새겨있다. 우암(尤菴)은 송시열(宋時烈)(1607∼1689)의 호이다.
이 소쇄원도(瀟灑園圖)에는 건물의 명칭 식물의 명칭 지당(池塘) 계류의 조담(槽潭)이나 바위 다리
물레방아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입구 담벽에는 원래 김인후의 소쇄원 48영(詠) 수제
(手題)가 편액으로 걸려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소쇄원은 무등산의 북쪽 기슭에 있는 광주호의 상류에 위치하여 무등산을 정남쪽에 대하고 있으며,
뒤편에는 까치봉과 장원봉(壯元峰)으로 이어지는 산맥이 동서로 병풍처럼 둘러져 있다.
또, 뒷산과 까치봉 사이의 골짜기를 흘러내리는 계류를 중심으로 하여 산기슭에 터를 잡은 소쇄원의
바로 앞에는 증암천이 동서방향으로 흘러 광주호에 들어가고 있다.
정원의 평면적인 모습은 계류를 중심축으로 하는 사다리꼴 형태이며, 흙으로 새 메움을 한 기와지붕의
직선적인 흙돌담이 외부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계곡의 굴곡진 경사면들을 계단상
으로 처리한 노단식 정원의 일종이지만, 구성면에서는 비대칭적인 산수원림(山水園林)이다.
소쇄원은 기능과 공간의 특색에 따라 애양단구역(愛陽壇區域)·오곡문구역(五曲門區域)·
제월당구역(霽月堂區域)광풍각구역(光風閣區域)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애양단 구역은 이 원림의 입구임과 동시에 계류쪽의 자연과 인공물을 감상하면서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애양단이란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소쇄원사팔영(瀟灑園四八詠)」
가운데 있는‘양단동오(陽壇冬午)’라는 시제를 따서 송시열(宋時烈)이 붙인 이름이다.
왕대나무숲속에 뚫린 오솔길을 따라서 올라오면, 입구 왼편 계류쪽에 약 18m의 간격을 두고
두 개의 방지(方池)가 만들어져 있고, 과거에는 물레방아가 돌고 있었다.
이것은 장식용으로 오곡문 옆 계곡물이 홈대를 타고 내려와 위쪽 못을 채우고,
그 넘친 물이 도랑을 타고 내려와 물레방아를 돌리게 되어 있어, 이것이 돌 때 물방울을 튀기며
폭포가 되어 떨어지는 물의 약동을 건너편 광풍각에서 감상하도록 설계된 것이었다.
위쪽 옆에는 계류 쪽으로 튀어나온 대봉대(待鳳臺)라는 조그마한 축대 위에 삿갓지붕의 작은
모정(茅亭)이 있는데, 이것은 근래에 복원한 것이다.오곡문 구역은 오곡문 옆의 담밑 구멍으로
흘러 들어오는 계류와 그 주변의 넓은 암반이 있는 공간을 말한다. 계류의 물이 들어오는 수문
구실을 하는 담 아래의 구멍은 돌을 괴어 만든 높이 1.5m, 너비 1.8m와 1.5m의 크기를
가지는 두 개의 구멍으로 되어 있는데, 그 낭만적인 멋은 계류공간의 생김새와 잘 어울린다.
이와 비슷한 기법은 1100년대(숙종연간)의 이실충(李實忠)이 만든 경기도 부천의 척서정
(滌暑亭)에서 볼 수 있다.오곡문의 ‘오곡’이란 주변의 암반 위에 계류가 之자모양으로
다섯 번을 돌아 흘러 내려간다는 뜻에서 얻어진 이름이다. 이 부근의 암반은 반반하고 넓어서 많은
사람들이 물가에 앉아서 즐기기에 넉넉한데, 「소쇄원도」에는 한편에서는 바둑을 두고, 다른 한편
에서는 가야금을 타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제월당구역은 오곡문에서 남서방향으로 놓여 있는
직선도로의 위쪽 부분을 말하는데, 주인을 위한 사적(私的) 공간이다. 제월당 앞의 마당은 보통의
농가처럼 비워져 있으며, 오곡문과의 사이에 만들어진 매대(梅臺)에는 여러 가지 꽃과 나무들을
심어 놓았다.광풍각구역은 제월당구역의 아래쪽에 있는 광풍각을 중심으로 하는 사랑방 기능의
공간이다. 광풍각 옆의 암반에는 석가산(石假山)이 있었는데, 이러한 조경방법은 고려시대의
정원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광풍각의 뒤쪽에 있는 동산을 복사동산이라 하여 도잠
(陶潛)의 무릉도원을 재현하려고 하였다.제월당의 ‘제월’과 광풍각의 ‘광풍’은 송나라의 황정견
(黃庭堅)이 유학자 주돈이(周敦頤)의 사람됨을 평하여 “흉회쇄락여광풍제월(胸懷灑落如光
風霽月)”이라고 한 데서 유래한 것이다.소쇄원의 조경식물로는 소나무·단풍나무·버드나무·참등
나무·대나무·매화나무·복사나무·살구나무·벽오동나무·배롱나무·회화나무·치자나무·사계화나무·
국화·파초·연꽃·철쭉·동백·난·측백나무 등을 심었다.이들 가운데 소나무·매화나무·대나무는 국화와
함께 사절우(四節友)라 하여 선비들이 즐겨 심었던 것이며, 측백나무는 주나라 때 왕자의 기념
식수로, 회화나무는 고관들의 기념식수로 쓰이던 나무들로, 그 풍습에 따라 자손이 성공하기를
비는 뜻으로 심었다. 현재는 당시에 심은 나무들 가운데 소나무·측백나무·배롱나무 몇 그루가
남아 있을 뿐이다.
소쇄원은 계류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의 언덕에 복사나무·배롱나무 등을 심어 철따라 꽃을 피우게
하였으며, 광풍각 앞을 흘러내리는 계류와 자연폭포, 그리고 물레방아에서 쏟아지는 인공폭포 등
자연과 인공이 오묘하게 조화되어 속세를 벗어난 신선의 경지를 방불하게 하는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어, 시인·묵객·문사들의 방문이 그치지 않았던 곳이었으며, 그들이 남긴 시들이 현재까지 전해
오고 있다.
소쇄원은 보길도의 부용동원림과 더불어 자연과 인공을 조화시킨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별서(別墅:
농장이나 들이 있는 부근에 한적하게 따로 지은 집) 정원이다.
공사중 출입차단줄을 헤치고 들어가서 여기저기 기웃거리다가
공사관계자들의 제지로 쫓겨 나왔다.
최고봉이라는 무명의 산을 등정 하는것이 목적이 아니고 담양의 대나무 만큼이나
유명한 곳으로 소문난 이 소쇄원을 꼭 방문 하는것이 목적이었는데 보수공사로
내원 진입이 불가하여 참으로 아쉽고도 실망스러움 바이 없더라는 것이다.
소쇄원 주차장에서 쳐다본 최고봉
그 좌측으로 장원봉
다시 첫 출발지인 가사 문학관으로 걸어내려 갔다.
출발할때 못찍은 기념사진
동쪽에 광주 무등산을 쳐다보며
광주호수 생태공원 한바퀴 돌아보고자 이 다리를 건넌다.
아직도 공사가 끝나지 않은 모양이다.
히어리 꽃
산수유
연못 올챙이
이것이 수령 430년의 광주 충효동 천연기념물539호 왕버들
최고봉과 소쇄원에 심쿵했던 마음이 그나마 풀어져 내렸다.
다시금 후미들이 뻐스를 타고 내려올 가사문학관 앞으로 가서
장원봉 올라갈때 업수이 보았던 식영정 일원을 다시금 찬찬히 살펴 보았다.
광주 무등산이다. 그러고 보니 서석대며 중봉에서 여기 광주호 주변을 내려다본 기억이 있다.
=== 끝 ===
2017년 4월 3일
★ 천성산 ★
아래를 클릭하면 더 많은 그림과 정보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