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개도 봉화산 봄맞이 명품 트래킹 기행
여수 개도 봉화산 봄맞이 명품 트래킹 기행
여수에서 남쪽으로 약 21.5㎞ 떨어진 섬, 개도(蓋島)는 여수에서 세 번째로 큰 섬이며
봉화산은 3개의 봉우리를 오르고 내린다. 마름모꼴로 한 바퀴 도는 형태의 평범한 육산
이지만 짙푸른 바다에 떠있는 수많은 섬들을 보면서 걷는 매력적인 섬이다. 북쪽에 여수
반도, 북동쪽에 돌산도, 남동쪽에 금오도, 서쪽에 고흥반도가 위치해 있다. 주위에 작은
섬들을 거느리고 있다는 뜻에서 덮을 개(蓋)를 써서 개도(蓋島)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개도에 있는 화개산의 모양이 솥뚜껑 모양을 닮았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구전에 의하면 임진왜란 때 이동예가 난을 피하여 처음 섬에 들어와 살았다고 한다.
<여수·여천 향토지>에 의하면 개도의 봉화산과 천제산 모양이 개 귀처럼 보이므로 개섬
이라 하였으며, 이것이 한자화 되면서 개도(蓋島)가 된 것이라 한다. 한편, 『도서지』
에 의하면 주위의 작은 섬들을 거느린다는 뜻으로 ‘덮을 개(蓋)’를 써서 개도라고 부르게
되었다 한다.최고점은 남쪽의 봉화산이며, 그밖에도 200m 내외의 산들이 솟아 있고, 해안
선은 동쪽과 서쪽이 돌출되어 있다. 그 밖에 곳곳이 깊게 만입되어 드나듦이 심하며, 북쪽
일부 간석지를 제외하면 암석해안이 대부분이고 남쪽은 높은 절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취락은 북쪽의 화산마을을 중심으로 신흥·서사미 마을에 모여 있으며, 주민들은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다.농산물로는 쌀·보리·콩·고구마·마늘 등이 생산된다. 연안 일대
에서는 서대기·양태·멸치·게·문어 등이 잡히며, 굴·미역 등의 양식업이 활발하다. 해안
선을 따라 도로가 나 있으며, 곳곳에 동백나무가 무성하여 남국적인 풍경을 이루고 있다.
개도출장소·우체국·보건소·경찰출장소 등의 관공서와 교육기관으로 중학교 1개교,
초등학교 1개교가 있다. 청석포 해수욕장과 낚시터가 유명하여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전력은 공급되나 상수도는 공급되지 않아 주민 대다수가 개도저수지나 우물물을 식수로
이용하고 있다. 음력 3월3일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제를 지내며, 월항 용바구에
얽힌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섬 전체에 크고 작은 선착장이 15개소 정도 있으며,
교통은 여수항에서 화신해운 소속의 정기 여객선인 한려페리호가 하루 두 차례, 태평양
해운 소속 백조호가 하루 두차례, 백야도에서 대형 카페리3호가 하루3회 왕복 운항되고
있다.
여수 10대명품길 개도 봉화산 개념도
백야도 백호산 편
11시30분 백야발 개도 출항 시간이 한시간 가량 여유가 나서 혼자서 백야 뱃머리
뒷산인 백호산을 올라 주변 도서연안 풍경들을 살피고 내려오는데 출항시간이 임박
하여 지름길로 뛰어 내려오니 등줄기로 후두둑 식은땀 땀 한줄기가 흘러 내렸다.
어쨋던 덕분에 뜻밖의 산 하나를 더 오르고 와서 나름 보너스 같은 수확으로 간주
한다.
백호산에서 내려다 보는 백야 선착장
백야대교
게인 사유지 돌담인지 성터인지?
이 낮은 산도 아주 주요 나들목 지맥인지 시그널 명패들이 수두룩 하다.
그래서 증명 하나 박는다.
백호산 끝
여수 개도 봉화산 트래킹 편
개도행 카페리 여객선 뱃머리에서
백야대교
방금 올랐던 백호산 1.2.3.봉
최고 높은봉 백호산 정상
백야도 등대
목적항 개도 여석 선착장 도착 우리는 내리고 뱃전위의 사람들은 상 하화도 추도
사도 등으로 가는 승객들이다.
여석 매표소와 여석 선착장 주변의 풍경들
도로를 한참 걸어 올라 여기가 실질적인 개도 봉화산 들머리
첫봉우리 팔각정 전망대를 향하여
팔각정 191봉 전망대 도착
안가보았지만 꽃섬이라는 하화도 해안 절벽단애 너머로 상화도 좌측으로
가 보았던
사도 추도 7개 ㄷ자 섬이 조망된다.
언젠가는 하화도 상화도를 연결해서 함 가봐야것다.
좌측 아래로 개도 6개마을 행정 중심지 화산마을 초,중학교 화정면
화산 출장소 치안센터 보건지도 농협지소 등이 있다.
올라가야할 봉화산이 솟아 있다.
조선시대 군마를 키웠다는 초지능선을 한동안 걷게 되는데 지금은 군마 대신 개도 한우
방목지로 걸음걸음 소똥이 밟힐 정도로 흔하다. 여름에는 냄세가 장난이 아닐듯 하다.
개도 야생화 소문은 들었지만 설마 초봄을 알리는 노루귀가 벌써 이렇게
만개했을 줄은 차마 기대하지 않았다.
와~! 오늘 아침에 여기오면서 부산 백양산 꼭데기에는 서설이 내려 있었고
하동 금오산에는 숫제 상고대가 핀것 같았는데
남도에는 벌써 요런 노루귀가 이쁘게 피어나서 멀리 원정나온 산객의 눈과 마음을 사로 잡는다.
우변도 찍었지만 냄세가 날까봐 삭제 했음 ㅋ
지나온 팔각정자봉
길가다 보면 소도 보고 중도 만난다고 진짜 ㅎ
ㅋ
우변의 영양을 듬뿍 섭취하여설까
야생화는 너무 예쁘고 건강하게 잘 피었다. 자라고 있다.
좌봉도 월호도 두라도(대 소) 라발도(대 소) 횡경도 화대도 멀리 향일맘 방향 등등
2선 좌측에 백호산이 여기서 쳐다보니 무척 높게 보이고 백호형상을 하고 있는것 같기도 하다.
봉화산 도착
봉화산에서 쳐다본 가야할 천제봉 저곳이 진짜로 봉화대가 있고 개도 6개마을
사람들이 음력 3월3짓날 고유산제를 지낸다는 실질적인 봉화산이다.
모전리 해고여 육고여 조망
바위에 붙어 기생하는 콩란
가 보면 바가지가 있고 물통도 있으나 사람이 먹을 수 없는
방목 소들의 식수로 쓰이는 물 웅덩이 수준
짬짬이 노루귀 군락지가 나온다.
천제봉 아니 봉화산 봉수대가 나타난다.
하화도 상화도 방면 당겼으나 희미해서 흑백처리
모전마을과 몽돌 해수욕장 줌인 뒤쪽은 하화도 절벽
지나온 봉화산 그 아래 모전리 해수욕장 그 뒤로 하화 상화도 등등
멋진 육고여 해고여 풍경들
뒷편 좌측으로 사도 추도 등 7개 섬
마지악 개도의 주산 최고봉 봉화 천제봉 도착
지나온 봉화산이 천제봉이고 여기가 봉화산이다. 높이도 뒤죽박죽이다.
어쨋거나 기념으로 삼각점에 발도장 까지
자꾸 멋진 그림이라
보고 또 보고
오른쪽으로 금오도가 나타난다.
크작은 섬과 섬을 건너서 끝선 오른쪽 여수 금오산 향일암 방향
진달래도 피어나려 폼 잡고 있다.
오른쪽 아래 무슨 저수지인지 취수장 시설인지 보인다.
건너편 금오도는 해무가 끼어서 분명찮다.
돌아보는 봉화산 천제봉
이른바 용등 혹은 고래등 바위
춘란도 꽃망울이 터지고
금오도를 뒤에 두고
같은 개도 월향마를 방향
우측은 봉화산으로 잘못 표기된 천제봉 좌측이 천제봉이라 되어있는 진짜 봉화산
팔각정자봉 뒤로 하화도 상화도
내려가야할 화산마을
마지막 노루귀 군락지를 지나며
큰개불알 꽃
여기서 청석금 방향으로 꺽는다.
개도 행정 중심지 화산 마을로 내려섰다.
밭두렁에 백화가 만발 하였다.
고전 두레박 우물이 나왔는데 음용수는 아닌것 같다.
보건지소
전설이 깃든 화산 마을의 수호신 느티나무 고목을 지나
개도 초 중학교 경유 차도를 따라 처음 들머리였던 여석 안골로 내려간다.
민들레 꽃도 피었고
안녕? 개도 송아지야 튼튼하게 자라거래이.
여기서 오전에 좌측 봉화산 1시간 방향으로 올라갔다.
원점회귀 조금 떨어진 여석마을 회관으로 가본다.
마을앞 정자를 끝으로 한참을 여석 매표소에서 대기하다 17시5분발 여객선을 타고 백야도로
귀항 하였다. 유명한 개도 마신다는 개도 막걸리 주조장은 내가 건강상 약주를 금하는 사람이라
둘러보지 못한 아쉬움이 있지만 산방 일행중 방문하고 시음 했다는 사람들의 자료를 참고로 만족
하고자 한다.
=== 끝 ===
2015년 3월7일
천성산
↓ 클릭